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한국인만 모르는 K-파워3

by 와이제이코코 2024. 2. 13.
728x90

한국인도 몰랐던 세계 속 K-파워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조사하다 보니 너무 많아 1,2,3편으로 작성해 보려 합니다.

재미있게 봐주세요. 전편에 이어 3편입니다.  

 

※피식 주의, 웃김 주의!!! 

11. K-아파트

카자흐스탄의 행정 수도 아스타나에 대통령궁을 마주 보는 황금자리에 한국형 아파트가 있습니다.

한국 기업의 기술로 만든 K-아파트 단지가 아파트 외부, 내부 인테리어까지 똑같은 형태로 중앙아시아에 수출됐습니다.

한국의 아파트 단지처럼 상가들이 조성되어 있고 로비카페, 피트니스존, 놀이터, 축구장, 교육시설 등 아파트 단지 내부에서 모두 해결 가능한 커뮤니티 시설들까지 한국인지 카자흐스탄인지 헷갈릴 정도로 똑같이 만들었습니다.

한국의 고급 아파트 단지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시설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건설 기술, 자재, 설계, 심지어 한국의 온돌까지 모두 한국 기술이 도입되어 지어졌다고 합니다.

온돌을 경험한 K-아파트 입주민들은 주거 문화의 혁명이라며 만족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국가번호 +82 답게 빠르고 신속 정확한 한국식 아파트 서비스도 도입했습니다.

문제 발생 시 아파트 관리실에 연락하듯이 카자흐스탄 K-아파트에서도 관리실에 연락하면 3분 내에 조치해 준다고 합니다.

2005년 첫 분양 당시 현지 최초 K-아파트 모델하우스에 당시 카자흐스탄의 대통령도 방문했습니다.

"모든 아파트는 한국 아파트처럼 지어라"라며 극찬했고 카자흐스탄 내 외교관들이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가 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 건설 업체들이 K-아파트를 벤치마킹하고 있습니다.

몽골, 베트남, 필리핀에도 여러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K-아파트를 지으며 한국 건축 기술&문화를 전파하고 있습니다.

12. 고구마케이크

고구마케이크=alt

외국인들에겐 생소한 고구마케이크가 뜻밖의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외국 고구마는 단맛이 덜해 채소처럼 여기며 케이크나 디저트의 재료로 사용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국 고구마는 달달하고 촉촉해 외국인들은 한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맛이라고 합니다.

달콤한 K-고구마로 만든 무스와 생크림, 시트의 완벽한 컬래버의 K-고구마케이크는 센세이션을 일으켰습니다.

우리에겐 유행이 한참 지난 고구마케이크를 뒤늦게 영접한 외국인들은 노란색도 너무 예쁘고 부드러운 달콤함에 반해 미슐랭 디저트를 맛본 듯 극찬하고 있다고 합니다.

빵부심 넘치는 디저트의 나라 프랑스에서도 K-고구마케이크 맛에 반해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 파리지사에 따르면 현지 베이커리에서 K-고구마케이크를 찾는 파리지앵이 지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인터넷에서도 K-고구마케이크 레시피를 공유하기도 합니다.

디저트도 이제 한국입니다.

13. 동묘 시니어 패션

영국의 유명 일간지에 소개되며 K-패션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는 곳이  홍대, 이태원, 가로수 길이 아닌 바로 동묘!!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동묘패션!! 내가 입으면 아재패션, GD가 입으면 힙스터!!

아무리 힙하게 입으려 해도 어려운 게 아재스러운 동묘 패션인데 전 세계 패션업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합니다.

동묘의 시니어 스트릿 패션 일명 멋쟁이 어르신들의 패션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영국의 유명 일간지의 한 사진작가가 포착동묘 어르신들의 시니어 패션을 소개했습니다.

동묘 어르신들의 패션은 "그 누구보다 쿨하고 멋지다"라고 평가하며 전 세계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입니다.

불가리아 출신의 디자이너로 고프코어룩의 대가 키코 코스타디노브 디자이너 역시 몇 년 전 한국에 방문해 서울의 명소들을 찾아다니던 중 동묘인근의 한국 어르신들의 패션을 보고 감탄해 SNS에 업로드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콘셉트 없고, 섭외 없고, 연출 없이 찍은 자연스러운 동묘 어르신들의 의상이 디자이너 눈에는 굉장히 힙했던 것입니다.

동묘 시니어 패션에 매료된 디자이너 키코 코스타디노브는 런던의 런웨이 패션쇼에서 동묘 스타일의 의상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세계를 사로잡은 동묘 시니어 패션!!

14. K-홍삼

우리나라 면세점에서도 홍삼은 인기 품목 중 하나입니다.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에 이미 진출해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상품입니다.

우리나라의 한 홍삼 브랜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중동의 소비 트렌드의 중심인 아랍 에미리트를 공략했습니다.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중동에 진출해 현지 약사들이 인정한 브랜드로 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면역력에 좋은 건강 기능 식품'으로 홍삼의 효능이 알려지며 전년 대비 5배 이상 홍삼이 수출되고 있습니다.

아랍 에미리트에서 K-홍삼의 인기는 대형 체인 약국 약 200곳에 국내 브랜드 '정관장 홍삼' 제품이 입점해 있습니다.

그중 50곳에는 정관장 전용 판매대가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중동에서 홍삼이 인정받게 된 이유는 한여름에 땀 흘리고 나면 기력 보충해야겠다고 난리듯이 뜨거운 사막아래 중동 사람들 역시 기력 보충은 필수로 중동의 니즈를  잘 파악했던 게 신의 한 수였다고 합니다.

홍삼의 면역력 향상 효과가 알려지면서 코로나19 이후 더욱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중동의 현지 남성들 사이에서 스태미나에도 효과가 좋다고 알려지면서 더욱 사랑받고 있다고 합니다.

동아시아를 넘어 중동까지 당당히 뻗어 나가고 있는 K-홍삼

15. 편의점

편의점 강국 일본을 제치고 우리나라 편의점이 세계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몽골, 베트남 등 동남아를 장악한 K-편의점.

2021년 4월 말레이시아에 첫 진출한 한국의 편의점은 약 1년 만에 점포수가 120개까지 확대 됐습니다.

몽골은 약 250개 점포를 운영 중이며 시장 점유율 70%를 달성하며 업계 1위에 올랐습니다.

해외에서 한국편의점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한국의 편의점을 그대로 구현했기 때문입니다.

대표 제품도 모두 한국 즉석조리 음식으로 인기상품 1~10위 모두 삼각김밥, 로제 떡볶이, 컵라면 등 현지 상품이 아닌 한국 상품으로 전체 매출의 60%를 차지했습니다.

말레이시아 1호점은 오픈 첫날부터 오픈런을 할 정도로 인기가 엄청났다고 합니다.

한류열풍으로 한국 문화, 상품을 만날 수 있는 곳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인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핫플레이스로 등극하며 해외에서 인기 고공 행진 중입니다.

베트남에서는 진출 약 4년 만에 업계 2위로 등극했으며 일본보다 9년이나 늦게 시장에 진출했지만 점포수를 추월했습니다.

편의점의 나라 일본에서도 K-편의점을 벤치마킹한다고 합니다.

728x90